2025학년 신학기개강, 2월 3일 실시간 온라인 수업시작 2025학년도 신학기가 오는…

영어를 유창하게 하려면 얼마나 걸릴까?
영어를 학습하는 많은 한국어 사용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 중 하나는 “과연 영어를 유창하게 하려면 얼마나 걸릴까?”입니다. 이 질문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참고자료 중 하나는 미국 국무부 산하 외교관 훈련기관인 **FSI(Foreign Service Institute)**의 언어 난이도 등급입니다.
FSI는 미국 국무부 산하 외교관 훈련기관으로 자국 외교관들을 대상으로 여러 언어를 교육해 온 경험을 토대로, 각 언어를 “전문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(General Professional Proficiency)”으로 익히는 데 필요한 시간을 4가지 분류로 분석해왔습니다. 이 기준은 모국어가 영어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지만, 언어 간 구조적 유사성과 차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반대의 경우—즉, 한국어 사용자가 영어를 배우는 데 걸리는 시간을 유추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Category l (약 30주, 690시간): 스페인어, 프랑스어, 노르웨이어 등
Category ll (약 36주, 828시간): 독일어 등
Category lll (약 44주, 1012시간): 러시아어, 터키어, 베트남어 등
Category lV (약 88주, 2200시간): 아랍어, 중국어, 일본어, 한국어
여기서 주목할 점은, 한국어는 영어 사용자에게 가장 높은 난이도인 4등급 언어에 속하며, 반대로 한국어 사용자가 영어를 배울 때도 구조적 이질성으로 인해 동일한 수준의 난이도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 한국어 사용자에게 영어가 Category 4에 속하는 이유는 문법 구조, 발음 체계, 어휘 체계가 영어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. 즉, 단어 하나를 익히더라도 그 뉘앙스, 활용 방식, 발음까지 전부 낯설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.
즉, 한국어 사용자가 영어를 전문적인 수준으로 구사하기까지는 약 2,200시간, 집중적인 학습 기준으로 약 88주(1년 8개월)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 물론 이는 하루 5~6시간씩 몰입 학습이 가능한 외교관 훈련 환경을 기준으로 하므로, 일반 학습자의 경우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중요한 점은, 이 수치가 단순히 ‘몇 년’이라는 시간 개념보다는 얼마나 많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학습에 투자했는가를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. 하루 1시간씩 공부하는 경우와 하루 6시간씩 영어 환경에 몰입하는 경우는 결과가 전혀 다릅니다.
✅2200시간 학습 기준- 하루 학습 시간에 따른 소요 기간
하루 학습시간 | 총 소요일수 | 총 소요 연수(대략) |
1시간 | 2200일 | 약 6.0년 |
4시간 | 550일 | 약 1.6년 |
6시간 | 367일 | 약 1.0년 |
8시간 | 275일 | 약 0.9년 |
결국 영어는 단기간에 끝나는 과목이 아니라, 장기적인 훈련이 필요한 근력 운동과도 같은 과정입니다. 한두 번에 큰 성과를 기대하기보다, 꾸준히 반복하고 일정 강도로 자극을 주어야 비로소 눈에 띄는 변화가 생깁니다. 하루하루 쌓아가는 언어적 ‘근력’이 쌓여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영어로 사고하고 말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하게 됩니다.
이때 학습 효율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노출 환경입니다. 가능한 한 영어로 듣고, 말하고, 읽고, 쓰는 몰입 학습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 달성을 앞당길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입니다. 시간도 중요하지만, 그 시간을 어떤 질로 채우느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. 따라서, 가능한 한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 영어로 듣고, 말하고, 읽고, 쓰는 모든 경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환경 속에서 학습할수록, 영어는 점점 더 빠르게, 그리고 깊이 익혀집니다. ‘얼마나 오래’보다는, ‘어떻게 배우는가’가 결국 그 시간의 질을 결정합니다.
유학 안 가고 국내에서 실현하는 몰입교육, 방과 후엔 국제학교 스칼라스비스타와 함께 하세요.